JSP (Java Server Page)

JSP 파일은 html 문서 안에 java코드를 쉽게 넣기 위한 형태이다.

JSP파일은 jsp 컨테이너(톰캣)에 의해 servlet 파일로 변환되고, class가 메모리(JVM)에 올라가 실행된다. 결국 서블릿으로 변환되는 것.


a.jsp -> a_jsp.java -> a_jsp.class


JSP의 기본틀이 html 문서와 같기 때문에 java 코드를 넣기 위해서는 태그(스크립트릿)가 필요하다.

반대로 java 코드에서 html문서와 같이 화면에 값을 출력하기 위해서도 적절한 태그가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JSP 파일은 기본적인 영역인 html 영역, 보이지 않고 연산작업을 하는 java 영역 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html영역에 있는 태그와 문자들은 사용자 브라우저에 그대로 표현되는 반고,

java 영역에 있는 코드와 문자들은 브라우저에 보이지 않고 연산에만 사용된다.


java영역에서 html영역으로 데이터를 내보내기 위해선

1. out 객체를 이용하거나,

2. 표현식 <%=  %> 을 통해 결과값을 내보내거나,

3. EL을 이용해서 ${ 값 } 으로 내보내거나

4. JSTL에 Core lib를 이용해 <c:out value="값">  등의 방법을 이용해야 사용자측 브라우저에 값을 출력할 수 있다.




JSP태그

<%          %>    스크립트릿,       안에 자바 코드를 넣어 실행할수 있다.

<%=        %>    표현식             태그안에 결과 값을 화면(html)으로 출력한다.

<%@       %>    페이지 지시자,   페이지의 속성을 정하거나, 현재 jsp 페이지에 lib를 적용할 수 있다.

<%--     --%>    주석                 이 태그 안에 코드는 주석처리 되며, html문서로 전송될땐 생략되어 전송된다. 

(jsp 주석과 다르게html주석은 전송되지만 표시만 안된다.)

<%!        %>     선언태그          변수나 메소드를 선언할수 있다.

<jsp:action>      액션태그            <jsp:  뒤에 적어주는 액션을 실행하는 태그.



액션태그

forward  페이지 이동. 사용자 화면에서 url은 변하지않으면서 표현되는 페이지만 변경된다.

기본형

<jsp:forward page="page_url">


include    페이지 삽입. 현재 페이지에 다른 페이지를 삽입한다. 컴파일이 같이 되는게 아니라, 삽입부분에서 페이지를 로드해 넣는다.

기본형

<jsp:include page="page_url">


**  <%@ include file="page_url"%> 은 삽입할 페이지를 같이 컴파일해버린것.


param    forward나 include 시에 Parameter를 넘겨준다.

기본형

<jsp:param name="param_이름" value="param_값">


이동하는 페이지에선 request 객체를 통해 값을 받을 수 있다.











'JSP+Servl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7.JSTL (Java Standard Tag Library)  (0) 2020.01.08
6.EL (Expression Language)  (0) 2020.01.08
4.내장객체 Request, Response  (0) 2020.01.08
2.Servlet  (0) 2020.01.08
1.Mapping  (0) 2020.01.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