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S (Network File System) 서버 구현

Linux시스템간 저장 공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

실제 디렉터리는 NFS서버 시스템에 있고 연결되어 있는 Linux 시스템에서는 NFS서버에 있는 디렉터리를 마운트해서 사용한다. 일종의 파일서버 개념.

 

NFS 서버 준비

  1. NFS 서버에 dnf -y install nfs-utils 명령으로 관련 패키지를 설치한다.

  2. /etc/exports 파일에 아래 내용을 추가한다.

    1. /share  <서버에 접근할 컴퓨터IP>(rw, sync)      /share는 공유할 디렉터리명, rw는 읽기쓰기, sync는 동기화

  3. /share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chmod 707 /share 명령어로 접근 권한을 변경한다.

  4. systemctl restart/enable nfs-server 서비스를 재시작/상시가동 한다.

  5. exportfs -v 명령으로 서비스의 상태를 확인한다.

  6. systemctl stop firewalld 명령으로 방화벽을 끄거나 해당 포트를 연다. (실제로 보안관련 옵션은 지정해주는 것이 좋다. 다만 인트라넷 전용으로 가정하고 실습한다.)

 

위 과정들로 서버의 준비는 끝난다.

 

클라이언트 설정

  1. rpm -qa nfs-utils 명령으로 관련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없다면 dnf 명령어로 설치한다.

  2. showmount -e <NFS서버IP>  명령어로 서버에서 공유 중인 디렉터리를 확인한다.

  3. 동기화할 디렉터리를 생성한다. (/myShare 로 가정)

  4. mount -t nfs <서버IP>:</share> <클라이언트 공유 디렉터리명> 명령어로 마운트한다.

위 과정들로 서버의 </share> 디렉터리와 클라이언트의 /myShare 디렉터리가 동기화 되었다.

다만 mount는 런타임 이므로 상시 유지를 위해 아래 5.과정을 진행한다.

  1. /etc/fstab 파일 가장 아래에 mount를 상시 유지하도록 아래 내용을 추가한다.

<서버IP>:/share    /home/<사용자명>/myShare    nfs    defaults    0    0

 

윈도즈 클라이언트 설정

  1. Windows 기능 켜기/끄기 를 찾아서 NFS용 서비스 - NFS용 클라이언트를 체크해서 활성화 시킨다.

  2. 명령 프롬프트를 켜서 mount <서버IP주소>:/share * 명령어로 서버의 디렉터리와 동기화 시킨다.

위 과정으로 내 컴퓨터에 가보면 자동으로 동기화된 드라이버가 잡혀있을 것이다.

 

'Linux > Centos8' 카테고리의 다른 글

DHCP 서버  (0) 2020.11.13
Samba 서버  (0) 2020.11.13
FTP 서버  (0) 2020.11.13
웹 서버  (0) 2020.11.13
데이터베이스 서버  (0) 2020.11.13

+ Recent posts